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건강보험료 얼마나 빠질까? 내 월급에서 정확히 계산해보기
    금융 지식과 팁 2025. 4. 26. 17:43

    월급명세서를 보면 ‘건강보험료’가 빠져있죠? 이게 실수령액을 은근히 크게 좌우한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🧐 이번 글에선 직장인의 건강보험료가 어떻게 책정되고, 실수령액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쉽게 풀어드립니다!

    2025년 기준 실수령과 건강보험료 계산


    📍 1단락: 건강보험료, 왜 이렇게 많이 빠지죠? 😵

    직장인의 급여명세서를 보면 ‘건강보험료’, ‘장기요양보험료’가 빠져나가면서 실수령액이 줄어듭니다.
    2025년 기준, 건강보험료율은 7.09%, 여기에 **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.81%**가 추가로 부과돼요.
    즉, 급여의 약 8% 이상이 건강보험 관련 비용으로 빠져나간다는 것!

    예를 들어 **월 300만원의 보수(세전 기준)**를 받는 직장인은 건강보험료로만 약 24만원 이상이 빠져나가며,
    여기에 국민연금, 고용보험 등을 더하면 실수령액은 세전 기준보다 50~70만원까지 줄어들 수 있어요.


    📍 2단락: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되나요? 🔍

    건강보험료는 단순히 ‘연봉 기준’으로 계산되는 게 아니에요.
    **회사에서 신고한 월 보수(급여)**를 기준으로 하며, 직원과 회사가 절반씩 부담해요.
    예를 들어, 월 보수 300만원이라면 전체 보험료는 약 21만 2700원이며,
    직장인은 그 중 10만 6350원 + 장기요양보험료 약 1만 3600원 정도를 부담합니다.

    💡 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일정 비율로 자동 계산되므로 따로 부과되지 않고 자동으로 같이 빠져요.


    📍 3단락: 건강보험료와 실수령액, 얼마나 차이 날까? 📉

    월급 250만원에서 400만원까지 다양한 수준을 예로 들어볼게요.

    • 250만원 수령자: 건강보험료 약 8.8만 + 장기요양 약 1.1만
    • 300만원 수령자: 건강보험료 약 10.6만 + 장기요양 약 1.3만
    • 400만원 수령자: 건강보험료 약 14.1만 + 장기요양 약 1.8만

    이처럼 월급이 많아질수록 건강보험료 부담도 점점 커지기 때문에, 연봉 협상 시 ‘세전 연봉’보다 실수령액 기준으로 협상하는 게 훨씬 현실적이에요! 💰


    📍 4단락: 직장인들이 궁금해하는 건강보험료 Q&A 🧐

    Q. 연봉이 오르면 건강보험료도 무조건 오르나요?
    → 네, 월 보수가 오르면 보험료도 오릅니다. 하지만 일정 소득구간에서만 반영되니, 한두 만 원 인상에는 큰 차이 없어요.

    Q. 보너스에도 건강보험료가 붙나요?
    → 연말 정산 때 보너스 포함 연간 총보수를 기준으로 정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가 부담이 생길 수 있어요.

    Q. 프리랜서로 전환하면 더 많이 내나요?
    → 지역가입자로 전환될 경우, 소득 + 재산 + 자동차 등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어 일반적으로 더 많아질 수 있어요.


    🎯 실수령액과 보험료의 관계, 꼭 챙겨보세요!

    건강보험료는 단순히 공제 항목이 아니라, 실제 생활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예요.
    특히 연봉이 높아질수록 보험료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,
    연봉 계약, 퇴사, 이직, 프리랜서 전환 등을 고려할 때 실수령 기준으로 다시 계산해보는 습관이 필요하답니다. ✅

Designed by Tistory.